살아있는-, 집비둘기 시리즈, 2021

요즘 도심에서 인간과 함께 살아가면서도 유해종으로 규정된 ‘집비둘기’에 관심이 간다. 도심에서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비둘기들이지만, 한적한 외곽지역으로 나가보면 도심에서 보던 녀석들과는 자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곳의 비둘기들은 고귀한 몸짓을 뽐내며 많은 경우 한 쌍의 부부가 짝을 이뤄 유유자적 평화롭게 살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시에 터를 잡은 ‘집비둘기’들은 그저 자신의 구역에서 살아남기 위해“살아있는-, 집비둘기 시리즈, 2021” 계속 읽기

제초작업 현장과 집비둘기, 2021

예초기의 굉음이 공간을 진동하고, 그간 애써 자라온 풀들이 처절하게 나가떨어지는 광경은 편리함 속에 감춰진 현대사회의 파괴적인 일면을 보여준다. 나는 제초작업 현장을 관찰하고, 그곳에서 잘려나간 풀들의 해체된 움직임에 관해 생각했다. 이후 움푹한 수변 산책로를 관찰하면서, 무참히 잘려나가 납작해진 자리를 기어코 다시 비집어 뚫고 올라온 생명체의 움직임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 잘려나가 해체된 자리에서 새롭게 솟아나는 존재를, 내“제초작업 현장과 집비둘기, 2021” 계속 읽기

2021 이문고가 공공예술 프로젝트 #링링링(케어링, 셰어링, 컬러링)

이문고가 프로젝트 가드닝 프로그램 『#링링링 (#CaringSharingColoring)』 기간 2021. 07. 17 ~ 2021. 08. 14 장소 이문고가 하부 루프스퀘어 주최 유쾌한 주관 만아츠 만액츠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김선동, 서요한, 양은영, 최경아 공공예술 작품설치 엄아롱 식물 큐레이션 및 자문 심다 이주연 초청공연 비주얼씨어터 꽃 공간 레터링 타이포그래피 히읗 2021. 07. 17 식물에 이름이 생긴날, 주민 맞춤 식물 전달“2021 이문고가 공공예술 프로젝트 #링링링(케어링, 셰어링, 컬러링)” 계속 읽기

2021 개인전, 행복이가득한집, 아트로직 스페이스

1st Solo Exhibition 『행복이가득한집 (A House Full of Happiness)』 장       소  아트로직 스페이스, 서울 안국 전시기간  2021.04.06~2021.04.11 개인전 전시 전경, 2021 <작가노트> 무심코 마주한 <행복이가득한집>이라는 간판에 한동안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그 간판이 주장하듯 정말로 행복한지 궁금했다. 모두가 행복한 건 아니겠지. 사람들은 저마다 사연이 있고 슬픔의 이유가 있다. 바로 앞 전봇대에“2021 개인전, 행복이가득한집, 아트로직 스페이스” 계속 읽기

뒤덮인 자리, 2021

어느 날, 공원을 산책하다가 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었다. 작은 개울이라도 있는 것일까, 풀들이 제멋대로 뒤엉켜 자라나 한껏 부풀어 있는 공간을 들여다보았다. 흙바닥이 서서히 사라지는 자리에는 하수구가 있었다. 반전이었다. 자연적인 풍경에 대한 상상과 반대로 무성한 풀더미 속 인위적인 철골이 땅의 기능을 대체한 형태가 이질적으로 다가왔다. 나는 서로 대립하는 두 가지 물질을 화면 속에 담아보려 했다. 이는“뒤덮인 자리, 2021” 계속 읽기

호시탐탐, 2021

충북혁신도시로 삶의 터전을 옮기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된 풍경은 임대문의 현수막과 네모반듯한 경계 안쪽 빈 땅에서 무성하게 자라는 풀들이다. 원래 산이었던 공간은 절단되고 평평해져 계속 새로운 아파트가 올라가고, 그 아파트는 응당 새로운 치킨집과 카페와 같은 상업 시설들을 부른다. 아직 많은 건물이 텅 비어있음에도 그 옆자리, 그리고 또 그 옆자리에서는 오늘도 새로운 건물이 올라간다. 인간이 편의상“호시탐탐, 2021” 계속 읽기